*최근 TV 프로그램을 보면서 다양하게 한국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프로그램에 공감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K pop, K 푸드, K 드라마 등은 한국을 알리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내가 과연 한국을 알리는데 어떤 도움이 될까 생각하다가 변화하고 있는 한국의 문화, 세계가 공감하는 한류 열풍, 한국전통의 현대적 계승 등을 내가 아는대로 표현함으로써 한국의 세계화에 도움이 될까해서 소개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생활속에서 변화하고 있는 한국인의 문화
지난 4~5년간 최근 한국은 세계적으로 어려웠던 코로나19 팬데믹 시기를 지혜롭게 헤쳐나왔습니다. 이후 한국의 생활문화는 더 빠르게 디지털화되고 있는 것이 느껴집니다. 대면보다는 스마트폰 중심의 일상과 비대면의 배달문화와 재택근무의 보편화, 비대면 화상미팅 등은 특히 어려움을 벗어나고자 하는 직장이 많은 도시 지역에서 두드러진 변화가 있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러한 비대면 문화가 아예 일상화되었고, 이로 인해 사람들이 집에서 가족과 함게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 혼밥을 포함한 가정 내에서의식사문화 , 가정에서의 일상 운동, 가정 내에서의 영화 및 컨텐츠 관람과 같은 ‘가정 중심’의 소비문화가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젊은세대를 중심으로 각자 개인의 취향과 자기표현을 우선시하는 생활방식이 확산되며, 한국 사회의 소비문화는 ‘나 개인만의 것’을 선호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소규모 주거공간, 1인 맞춤형 가전제품들이 인기를 끄는 것도 이 같은 흐름을 말해 줍니다. 또한 환경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의 결과물로 환경운동 실천이나 미세 플라스틱 줄이기 운동 등이 가정, 학교, 회사를 중심으로 일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는 차별화되고 긍정적인 방향의 한국인의 삶의 방식의 성장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로 정말로 현실에서 큰 변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한류 열풍-세계를 사로잡다
한류로 표현되는 K-POP, K-드라마, K-푸드, K-뷰티 등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전 세계적인 문화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같은 한국을 대표하는 K-POP 아티스트들의 세계적인 활동을 포함하여, ‘오징어 게임’과 ‘더 글로리’ 같은 넷플릭스 드라마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불과 얼마전 '대장금'이 한국의 전통과 드라마를 대표하는 컨텐츠로 자리잡은 때부터 꾸준히 이어져 온것 같습니다. 이처럼 한국의 컨텐츠 확장에 힘입어 음식관련, 여행관련 컨텐츠 등이 활발히 성장하면서 동시에 한국의 음식문화 역시 해외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김치, 불고기, 떡볶이, 삼겹살 등이 정이 많은 한국인의 정서와 맞물려 다양한 한식이 해외 식당의 메뉴로 알려지고 있고, 한국식 카페나 디저트 브랜드들도 세계 곳곳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맛이나 브랜드 때문이 아니라, 한국 고유의 조리 방식과 정성 어린 식문화가 다양한 방법으로 세계인에게 감동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류는 이제 패션, 뷰티, 게임, 웹툰 등 다양한 산업과 연결되며 세계적으로 글로벌화된 ‘문화 경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제 한류는 단순한 문화 수출을 넘어, 한국의 생활방식과 정체성 이 세계 무대에서 감동적인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통의 현대적 계승
한국은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도 우리만의 고유의 전통문화를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한복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단순히 과거에 입던 전통 복장이라는 인식을 뛰어넘어, 이제는 일상에서도 착용 가능한 ‘생활한복’이 등장하며 신세대들에게도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이는 자부심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여행자를 위한 한옥렌탈, 한옥카페, 전통차 체험관, 국악 공연 등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공간과 행사등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아마도 세계무대에서 국위선향을 하고 있는 예술가, 방송인 등의 영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현재는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 등의 SNS, 플랫폼등을 통해 전통문화를 색다르게 체험하고 공유하는 문화가 확산되며, 과거의 것들이 현대의 의미에 맞게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문화재 보호, 전통공예 계승 역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이 주도하여 전통문화 콘텐츠를 디지털화하는 작업도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한국 전통문화는 단순한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살아 움직이는 문화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의 문화는 생활의 변화, 세계적인 한류, 전통의 계승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빠르게 변하면서도 고유의 색을 잃지 않는 한국 문화는, 앞으로도 글로벌 사회에서 주목받을 것이라 확신하고 있습니다.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는 한국 사회를 더 잘 이해하는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을 방문하는 다양한 나라의 여행자들이 선입관을 버리고 다양한 한국 문화를 직접 체험해 보며 그 매력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