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1 한국인이 사랑하는 팝송(Pop song) 1970~1980년대 1970년대~1980년대 우리나라의 노래, 아니 당시 젊은이들에게 사랑을 받았던 감동과 감성이 충만한 음악장르는 아마도 팝송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저 또한 당시에 젊은이였고 지금은 그때를 회상하면서 가슴뭉클해 하는 경험자로서도 팝송이 당시 젊은이들, 학생들에게 끼친 영향력은 상당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당시에는 5000원짜리 카세트테이프, 9곡은 해당 가수의 음악이 녹음이 되어있고 맨 마지막 한곡은 건전가요가 들어간 그런 카세트테이프가 거의 유일한 나의 음악의 형태였습니다. 때에따라 노래를 정말 좋하하는 젊은이들이나 여학생들은 테이프 판매점에서 천원을 더 주고 10곡 모두를 선별해서 녹음하기도 했습니다. 당시로서는 불법이었습니다. 당시에는 LP, 카세트 테이프, 워크맨, CD플레이어 , 마이마이 등이 대.. 2025. 6. 13. 한국의 지난 역사 1980~1990년대 1980년~1990년대는 격동의 시기였습니다. 군복무를 마치고 대학에 복학하여 한동안 손을 놓았던 공부를 다시하게 되었습니다. 졸업반이 되어 취업을 하기 위해 아둥바둥 거리기도 하고 헤어져야 하는 동기들과 서운함에 가슴을 쓸어내리기도 했습니다.새로운 직장과 쏟아져 나오는 업무를 하기위해 숱한 야근과 밤샘작업을 하면서 경제성장율이 오른다는 뉴스를 접하며 내가 그 주역이다라고 되뇌이기도 했습니다. 2000년대로 가는 길목에서 많은 아버지들과 국민들 모두가 열심히 일을 하던 시기였습니다. 새록새록 생각이 나는 군대생활군복무를 하던 시절 장교임관을 위한 예식을 위해서 강원도 화천까지 가서 진달래를 몇백그루씩 캐 왔습니다.(물론 해당 소유주와 협의하에 진행했던 일입니다) 답례로 군에서 먹는 햄, 멸치 통조림, 쌀.. 2025. 6. 12. 1980년대 직장 생활 한국 사회가 막 성장할 시기인 1980년대 직장 생활은 어땠을까 돌아보니 정말 감회가 깊기도 하고 많은 변화가 있었구나를 다시한번 느끼게 됩니다. 주로 대기업의 경우 현재처럼 개별 채용보다는 공개채용 형태로 직원을 뽑았었다. 지인의 경우 23명을 선발하는 3차에 걸친 경쟁에 8750명이 지원하는 등 치열한 경쟁이 계속되었습니다. 아무래도 공채다 보니 갓 입사한 회사에서 개인별 인수인계보다는 단체 연수를 통해 4일~7일 정도의 연수기간을 거쳤고 연수가 끝나는 날에는 4차 선발의 시험을 치루기도 했습니다. 당시는 피나는 노력이 없으면 살아남기가 어려웠던 시기였습니다. 과거를 회고하며 당시의 생활상, 문화상을 적어보기로 하겠습니다.1980년대 직장의 근무환경1980년대는 아직 통금시간, 민방위, 등화관제 제도.. 2025. 6. 11. 한국을 이해할 수 있는 역사 1970~1980년대 한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재만 가지고는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어떤 세월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는지를 알게되면 단순한 시각적인 부분보다는 역사를 통해 공감해야 할 부분이 많음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경제적 성장이 시작되던 1970년대부터 성장의 정점에 이를때까지 우리가 받았던 교육, 교육환경 이를 유지하기 위해 가족들의 생활등을 고스란히 이해해야 밀레니엄 시기를 거처 오늘에 이른 결과물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 미국을 포함한 서구 여러나라들의 문화를 알기위해서 역사를 배우듯이 한국 또한 역사를 통해서 오늘의 한국인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아이들의 학창 생활사회생활을 마무리하는 나이대의 선배들을 기준으로 한다면 1970년 ~1980년은 유소년 시기였을 것입니다. 대도시에는 당연히 유치.. 2025. 6. 11. 외국인이 보는 한국, 한국인 이 주제는 다분히 개인적인 시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객관적인 통계도 아니고 이렇다 할 정답이 있는 주제도 아닙니다. 최근 한국이 펜데믹을 지혜롭게 극복하고 다양한 분야의 한국문화가 글로벌화 되어 세계로 진출을 하면서 한국의 국격이 정말 높아짐을 피부로 많이 느꼈습니다. 마치 비즈니스던 여행이던 해외에 나가서 태극기를 보았을 때나 애국가를 들었을 때의 가슴벅참이 느껴지는 일상을 지내고 있습니다. 사실 처음 블로그를 한번 해 볼까 생각할때는 다양한 경로로 외국인이 한국에 들어와 겪는 생활상이 좌충우돌 재미있기도 하고 아쉽기도 하던 중 과연 내가 한국을 어떻게 하면 많이 올바르게 알릴 수 있을까? 현재의 모습만으로는 유구한 역사와 함께 만들어진 다양한 전통을 설명할 수가 없을텐데... 시대별 한국의 변천사를 .. 2025. 6. 10. 계절별 한국 생활(한국인의 의식주, 한국의 축제, 한국인의 여가생활) 한국은 뚜렷한 4계절이 있습니다. 이 또한 큰 축복이 아닐 수 없습니다. 한국의 4계절은 단순한 기후의 변화가 아닌 의식주와 문화활동, 여가활도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각 계절별로 한국만이 가지고 있는 정서, 풍속을 만들어 냅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4계절의 영향으로 한국인의 의식주와 한국의 축제, 한국인의 여가생활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한국인 의식주의의 계절별 변화한국의 4계절은 의식주 전반에 걸쳐 영향을 줍니다. 먼저 의복과 관련해서는 봄에는 바람이 적지않게 부는 관계로 아이와 성인 할것 없이 소위 바람막이라고 하는 옷을 착용합니다. 때에 따라서 트렌치코트로 코디를 하기도 합니다. 여름에는 반팔, 반바지, 민소매 등으로, 가늘에는 니트와 자켓, 겨울에는 롱패딩과 히트텍과 같은 .. 2025. 6. 10. 이전 1 2 3 4 다음